형태와 기능은 떼려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를 갖는다. 가장 능률적인 기능을 발휘하는 제품은 그 형태 또한 뛰어난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으며, 반대로 아름다운 형태의 제품은 가장 효율적인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우리는 자연에서 찾아내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다. 자연은 형태와 기능의 가치가 가장 완벽하게 조화된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디자인도 마찬가지이다. 디자인에서의 형태와 기능은 둘이 아닌 하나로 추구되어야 한다.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Frank Lloyd Wright.
2.
모더니즘 건축의 거장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구겐하임미술관, 르 코르뷔지에의 롱샹 교회 등의 작품에서 나타나듯이 그들의 디자인이 변하기 시작했다. 이른바 ‘유기적 모더니즘’이라 불리는 변화의 바람이다. 유기적 모더니즘 디자인은 가느다란 선과 추상적인 덩어리 형태와의 균형, 간결하고, 순수하며, 비대칭적이면서 자유로운 형태를 특징으로 한다.
3.
기술은 예술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예술은 기술을 필요로 한다. 발터 그로피우스 Walter Gropius.
4.
우리가 찾는 미美. 그것은 억지로 나타낼 수 없다. 그것은 기능을 개량함으로써 자연히 생겨난다. 기능, 이것이 바로 미의 원천이다. 레이먼드 로위 Raymond Loewy.
5.
1964년 도쿄올림픽 포스터는 그래픽디자이너 가메쿠라 유사쿠에게 맡겨졌다. 가메쿠라 유사쿠는 도쿄올림픽 포스터 의뢰를 받고 과거 제작된 올림픽 포스터를 자세히 살펴본 후, 사진을 사용한 포스터가 없음을 발견했다. 그리고 사진을 사용해 포스터를 디자인함으로써 기존 올림픽 포스터와 차별성을 두고자 결심했다.
6.
GK 디자인 기구 디자인관 : 디자인의 ‘de’는 ‘나타내다’라는 의미이며, ‘sign’은 ‘사람들이 잠재적으로 바라고 있는 새로운 것’을 의미하므로, 디자인은 곧 ‘미상식美常識을 창조하는 것’이라고 파악한다. 또한 디자인은 일본어로는 ‘의장意匠’으로 풀이되는데, 意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匠은 ‘장인’을 의미하므로 디자인 회사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내는 장인 집단’이어야 한다고 결론짓는다. 이것은 디자인의 독창성을 전제하는 것으로, 디자인은 이미테이션이나 물건의 표층만을 조형하는 것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7.
디자이너에는 두 종류가 있다. 헬리콥터형과 자동판매기형이다. 전자는 직접 조사하고 관찰하기 위해 끊임없이 대기 중을 순회한다. 그러나 후자는 누군가 돈을 집어넣기 전까지 가만히 있을 뿐이다. 이때 나오는 제품의 종류는 언제나 한정되어 있으며 오래된 것들이다. 앨런 플레처 Alan Fletcher.
8.
디자이너는 제작물 한 가지만이 아니라 주변 환경과 놓을 장소, 사용할 소비자의 심리까지 생각해서 디자인해야 한다. 키스 브라이트 Keith Bright.
9.
디자인의 역사가 짧은 핀란드가 오늘날 디자인 강국으로 급성장한 데는 이 나라의 자연과 역사가 한몫 거들고 있다. 겨울이 긴 핀란드는 자연스레 조명 기구나 인테리어용품이 발달되었고, 국토의 대부분이 원시림으로 뒤덮여 있어 풍토에 알맞은 가구 공예를 발전시키기에 적합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수공예의 전통이 깊은 민중예술의 나라라는 조건이 밑받침되었다.
10.
언제나 신선하고, 언제나 다르며, 언제나 도전하는 것, 그것이 최상이다. 나의 불리한 점은, 서양의 전통이 없다는 것. 하지만 이것이 바로 내게는 기회이다. 잇세이 미야케 Issey Miyake.
11.
디자이너가 창작에 몰두하는 것은 무슨 목적이 있어서인가. 그것은 그 자체가 인생의 연장이기 때문이며, 그것에서 재미와 보람을 느끼기 때문이다. 창작의 기쁨, 이것은 곧 인생의 기쁨으로 되돌아온다. 재미를 느낄 수 없다면 디자이너로서의 생명력은 짧을 수밖에 없다. 인생을 살다 보면 기쁜 일이나 좋은 일만 찾아오는 것은 아니다. 괴롭거나 슬픈 일을 비롯해서 황당한 일들도 당하게 된다. 그러나 어렵거나 슬픈 일을 당할 경우라도 이를 즐겁게 받아들여야 한다. 인생을 긍정적으로 보는 자세는 창작 에너지의 원천이 된다. 칸 타이킁 Kan Tai-Keung.
12.
어제 그 일을 그러한 방식으로 했다고 해서 오늘의 작업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바로 그것이 디자이너에게 새로운 기술이 필요한 이유이다. 에이프릴 그레이만 April Greiman.
13.
그는 어떤 학문적이거나 이론적인 바탕에서 출발한 디자이너라기보다는 체험적인 사고와 경험을 통해 발명가적인 상상력을 발전시킨 디자이너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인지 그의 디자인에 대한 접근 방식은 남들과 다른 독특한 데가 있다. 예를 들어 가구를 디자인 할 때 사람들은 보통 스케치를 통해 그 형태 및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 반해, 그는 스케치하기 전에 머리 속에 시나리오를 작성한다. 그 발상은 어떤 때는 스티븐 스틸버그의 영화의 한 장면에서, 어떤 때는 친구들과의 대화 속에서 시작된다. 특히 미래형 우주선의 모양을 닮은 <즙을 짜는 도구 Juicy Salif>는 필립 스탁 그만의 상상력이 없었다면 디자인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박암종 지음